학과소개
주임교수 인사말
학과 개요
수상 실적
학과를 위한 기부
찾아오시는 길
구성원
교수
명예교수
방문/연구교수
직원/조교
동문
입학정보
학부 과정
대학원 과정
교육/교과과정
학부과정
대학원과정
학사력
연구
연구분야/연구실
연구센터
최신연구
연구실 소개 영상
BK21
교육연구단소개
교육연구단 운영규정
사업신청서 및 평가보고서
알림마당
새소식
뉴스
공지사항
금주의 세미나
학과 갤러리
취업 정보
KR
EN
CONTACT US
LOGIN
KR
EN
학과소개
주임교수 인사말
학과 개요
수상 실적
학과를 위한 기부
찾아오시는 길
구성원
교수
명예교수
방문/연구교수
직원/조교
동문
입학정보
학부 과정
대학원 과정
교육/교과과정
학부과정
대학원과정
학사력
연구
연구분야/연구실
연구센터
최신연구
연구실 소개 영상
BK21
교육연구단소개
교육연구단 운영규정
사업신청서 및 평가보고서
알림마당
새소식
뉴스
공지사항
금주의 세미나
학과 갤러리
취업 정보
새소식
뉴스
공지사항
금주의 세미나
학과 갤러리
취업 정보
뉴스
Total 348건
1 페이지
348
장영태 교수, 초광안정 유기형광분자 개발로 신약 개발 및 질병 진단 전망 밝혀
포스텍 장영태 교수 연구팀은 획기적인 유기형광분자 '피닉스 플루어 555(PF555)'를 개발했습니다. 이 분자는 기존 형광물질의 한계를 극복하여 뛰어난 광안정성을 보여주며,단일 분자 수준에서의 단백질의 동작을 장시간 동안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는..
작성일
2025-02-27
347
박수진 교수, 고전압과 장기 수명을 동시에 구현하는 리튬이온 배터리 신기술 개발
포스텍 박수진 교수 연구팀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및 서울대와 공동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내구성과 고전압 구동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이 연구에서는 물을 기반으로 한 전해질을 사용하여 화재 위험성을 크게 감소시키면서도 배..
작성일
2025-02-13
346
서종철 교수, 고체전해질 대량생산 기술 개발로 전고체전지 상용화 앞당길 전망
서종철 포스텍 교수와 연구팀은 KAIST, 대주전자재료와 공동으로 전고체전지의 핵심 소재인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형 공침법을 개발했습니다.이 방법은 고체전해질의 제조 시간을 대폭 줄이면서 품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
작성일
2025-02-11
345
김원종 교수, 종양 내 항체 생산 나노입자 'CAPRN' 개발로 암 치료 혁신 기대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융합대학원의 김원종 교수와 연구팀이 종양 내부에서 항체를 직접 생산하고방출하는 나노입자 플랫폼인 'CAPRN(Controlled Antibody Production and Releasing Nanoparticle)'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작성일
2025-02-06
344
박문정 교수, 리튬 이온 배터리 성능 극대화 기술 개발로 차세대 배터리 혁신 기대
포스텍 화학과 융합대학원의 박문정 교수와 연구팀은 리튬 이온 배터리 성능을 극대화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기술은 전해질의 핵심 문제인 기계적 강도와 이온 전도도 사이의 균형을해결하기 위해 매우 적은 양의 리튬염을 사용하여 이온 전도도와..
작성일
2025-02-06
343
박문정 교수, 포스코청암상... 2025년 과학상 첫 수상자로 선정
포스코청암재단은 22일 올해 포스코청암상 수상자로 과학상에 박문정 포스텍 화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포스코청암상은 고(故) 청암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2006년 제정되었으며,시상식은 오는 4월 포스코센터에서 진행된다..
작성일
2025-01-23
342
김원종 교수, mRNA 전달 효율 높였다
POSTECH의 화학과 김원종 교수 연구팀이 질병관리청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새로운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 mRNA 전달체를 개발하여, 해당 연구 결과를 '바이오머터리얼즈' 국제학술지에 발표했습니다.이 연구는 mRNA 백신의 효율과 안전성을..
작성일
2025-01-16
341
장영태 교수, 포름알데히드 기반 유기형광분자 합성으로 의료 이미징 혁신 기대
POSTECH 화학과 장영태 교수 연구팀은 최근 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해 유기형광분자를 기존 방법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유기형광분자는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형광을 방출하는 물질로, 주로 의료 진단, 암 세포 ..
작성일
2025-01-16
340
최창혁 교수, 알칼리 이온의 재발견으로 교과서 뒤집었다
한국연구재단은 포항공대의 최창혁 교수를 포함한 공동연구팀이 알칼리 금속 이온이 전기화학 반응에서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이 연구에서는 리튬, 나트륨, 칼륨, 세슘과 같은 알칼리 금속 이온이 전기화학 반응에 직접 참..
작성일
2024-12-23
339
최창혁 교수 'Y-KAST' 회원 선정
POSTECH은 최창혁 화학과 교수가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으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Y-KAST는 만 43세 이하의 젊은 과학자 중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보인 인물을 매년 선정하여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차세대 리더를 발굴합니다.이..
작성일
2024-12-18
338
박수진 교수, 신축성 있는 고에너지 밀도 리튬 배터리 개발
POSTECH 화학과 및 배터리공학과 박수진 교수 연구팀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및 충남대학교 연구진과 협력하여 신축성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겸비한 리튬 금속 배터리를 개발했습니다. 이 혁신적인 연구 결과는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돌파구로서, 기존..
작성일
2024-12-09
337
박선아, 류순민, 심지훈 교수, 나노클러스터 기반 구조체 합성 성공
포스텍의 박선아 화학과 교수팀이 류순민, 심지훈 교수와 함께 공동 연구를 통해 새로운 나노클러스터 기반 구조체를 성공적으로 합성하고, 그 구조에 따라 발광 특성이 달라지는 원리를 규명했습니다. 이들은 특히 원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설계된 나노클러스터의 크기..
작성일
2024-12-09
336
[황승준 교수] 광물 제올라이트 모방 촉매로 온실가스 메탄을 유용한 화합물로 전환
메탄을 메탄올로 산화시키는 반응을 촉진하는 광물 제올라이트, 위키미디어 제공포스텍 황승준 교수 연구팀이 메탄가스를 메탄올로 전환할 수 있는 제올라이트를 모방한 새로운 탄화수소 활성화 촉매를 개발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25배 이상 강력한 온실가스로, 이를 메탄올로 ..
작성일
2024-11-25
335
[박선아 교수] 출력과 에너지를 담은 구조체, 분자 단위 기공 개질로 혁신을 이끌다
- POSTECH 박선아 교수팀, 분자 단위 기공 개질로 빠르고 가역적인 산화환원 활성 유도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박선아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고성능 에너지 저장 장치인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
작성일
2024-11-18
334
[박문정 교수] 고분자 말단화학 개척한 박문정 포스텍 교수, 10월의 과학기술인상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0월 수상자로 박문정 포항공대 화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박 교수는 고분자 합성과 구조분석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분자 말단화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개척하고, 고분자 상전이 연구의 새로운 패..
작성일
2024-10-04
열린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6
페이지
7
페이지
8
페이지
9
페이지
10
페이지
다음
맨끝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