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1월] 김기문교수 연구실- Hydrolytic Transformation of Microporous Metal–Organic Frameworks to Hierarchical Micro- and Mesoporous MOFs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조회 작성일 15-11-11 11:07본문
Micro- to Mesoporous Transformation
Y. Kim, T. Yang, G. Yun, M. B. Ghasemian, J. Koo, E. Lee, S. J. Cho, and K. Kim
Micro- to Mesoporous Transformation: Microporous MOF, POST-66(Y), was transformed into hierarchical micro- and mesoporous MOF, POST-66(Y)-wt. The mesopores in a diameter of 3-20 nm are easily obtained by simple treatment with water.
금속이온과 유기리간드의 배위결합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다공성의 금속-유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합성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다공성의 금속-유기 하이브리드 물질은 높은 표면적으로 인하여, 촉매, 기체 저장 및 분리 등의 응용에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하지만 그 동공의 크기가 2나노미터 이하로 제한되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의 마이크로 다공성의 금속-유기 하이브리드 물질의 구성 물질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메조 다공성의 금속-유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개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더욱이 물과의 간단한 반응만으로 3-20 nm의 동공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렇게 새로이 형성된 메조다공성으로 인하여 마이크로 다공성 물질이 갖는 느린 확산 속도, 동공의 막힘 등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연구 내용은 독일의 화학저널 ‘안게반테케미(Angewante Chemie)’에 오는 11월호에 개제 되었으며 hot paper로 선정 되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