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주임교수 인사말
학과 개요
수상 실적
학과를 위한 기부
찾아오시는 길
구성원
교수
명예교수
방문/연구교수
직원/조교
입학정보
학부 과정
대학원 과정
교육/교과과정
학부과정
대학원과정
학사력
연구
연구분야/연구실
연구센터
최신연구
연구실 소개 영상
BK21
교육연구단소개
교육연구단 운영규정
사업신청서 및 평가보고서
알림마당
새소식
뉴스
공지사항
금주의 세미나
학과 갤러리
취업 정보
KR
EN
CONTACT US
LOGIN
KR
EN
학과소개
주임교수 인사말
학과 개요
수상 실적
학과를 위한 기부
찾아오시는 길
구성원
교수
명예교수
방문/연구교수
직원/조교
입학정보
학부 과정
대학원 과정
교육/교과과정
학부과정
대학원과정
학사력
연구
연구분야/연구실
연구센터
최신연구
연구실 소개 영상
BK21
교육연구단소개
교육연구단 운영규정
사업신청서 및 평가보고서
알림마당
새소식
뉴스
공지사항
금주의 세미나
학과 갤러리
취업 정보
새소식
뉴스
공지사항
금주의 세미나
학과 갤러리
취업 정보
뉴스
Total 362건
1 페이지
362
황승준 교수, 값싼 원소로 고성능 산소 활성 촉매 구현
N
새글
POSTECH(포스텍) 화학과·첨단재료과학부 황승준 교수 연구팀이 값싸고 흔한 주족원소를 활용해 고성능 산소 활성화 반응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전이금속 기반 촉매가 주로 사용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저렴하고 안정적인 인(P), 안티모니(Sb), 비스무트(..
작성일
2025-06-19
361
박수진 교수, 실리콘 밀당 전략으로 전고체배터리 수명 향상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박수진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배터리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세대 이용민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로,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에 적합한 고용량·고안정성 실리콘계 복합음극 설계 기술을 제시했다. 전..
작성일
2025-06-02
360
박문정 교수, 2025 리더연구 선정... 정밀 고분자 연구 등 집중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5년도 기초연구사업 중 ‘리더연구’와 ‘선도연구센터’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사업에는 총 2,275억 원이 투입되며, 리더연구자 6명과 선도연구센터 14개 그룹이 선정되었다.리더연구 사업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에게..
작성일
2025-05-28
359
서종철 교수, 아이센스 젊은 분석화학자상 수상
서종철 교수님께서 아이센스 젊은 분석화학자상을 수상하셨습니다.아이센스 젊은 분석화학자상은 2011년부터 대한화학회 분석화학분과회에서 45세 이하 젊고 탁월한 연구역량과 성과를 갖춘 분석화학분야 연구자에게 매년 수여하는 상으로 상금 200만원 및 상패가 지급되..
작성일
2025-05-23
358
박수진 교수, 전극·전해질 밀착시켜 실리콘 배터리 상용화 앞당겨
포스텍 화학과 박수진 교수 연구팀이 서강대 류재건 교수팀과 공동으로, 실리콘 전극과 전해질을 단단히 결합해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차세대 실리콘 배터리 기술을 개발했다.스마트폰·노트북 등 현재 배터리는 대부분 흑연 음극 소재를 사용하지만, ..
작성일
2025-05-13
357
박문정 교수, 배터리 고분자 전해질 소재 개발로 고질적 딜레마 해소
포스텍 박문정 화학과 교수팀은 배터리의 오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 소재를 개발했다. 기존 배터리 전해질은 주로 액체 형태로 누출 및 화재 위험이 있지만, 대체 기술로 개발된 고체 전해질은 이온 흐름 속도와 강도 사이에서 딜레마를 겪..
작성일
2025-04-30
356
주태하 교수, 시간영역 분광학 기법 개발로 장관표창 수상
포스텍 화학과 주태하 교수는 2025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표창을 수상했습니다. 주 교수는 시간영역 분광학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고속 화학 반응 연구에서 중요한 이론을 정립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이 ..
작성일
2025-04-22
355
장영태 교수, 형광물질로 간암 세포와 정상 간세포 구분하는 혁신적 기술 개발
포스텍 장영태 교수팀과 순천대 하형호 교수팀은 형광물질을 이용해 간암 세포와 정상 간세포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특히 크기가 작은 초기 간암을 진단하고 수술 시 암 조직만 정밀하게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작성일
2025-04-22
354
박수진 교수, 차세대 고성능 배터리 개발로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혁신
포스텍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의 공동 연구팀은 초고속 충전과 고에너지 밀도를 요구하는 배터리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음극 재료를 개발했습니다. 포스텍 박수진 교수는 연구의 중심 인물로, 이번 연구 결과는 ACS Nano 학술..
작성일
2025-04-22
353
임현석·서종철 교수, 100배 다양한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 가능한 신약 발굴 플랫폼 'NanoDEL' 개발
국내 연구팀이 신약 후보물질 발굴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인 NanoDEL을 개발했습니다. 포스텍의 임현석 화학과 교수, 서종철 교수 공동연구팀은 나노입자 표면에 DNA와 화합물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수억 개 이상의 신약 후보물질을 동시에 발굴할..
작성일
2025-04-22
352
이인수·심지훈 교수, '원자촉매 호텔'로 화학 반응 효율 극대화
포스텍 화학과 이인수 교수와 심지훈 교수의 공동 연구팀이 새로운 '원자촉매 호텔'을 개발하여 화학 반응의 효율을 혁신적으로 높였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에 게재되었으며, 단일 원자 촉매(Single-Atomic Catalyst) 기술의..
작성일
2025-04-10
351
박문정 교수, 2025 포스코청암상 과학상 수상
포스코청암재단은 포스코센터에서 2025년 포스코청암상 시상식을 개최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인 인물들을 시상했습니다.이날 시상식에서는 포스텍 화학과 박문정 교수가 과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박문정 교수는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이 상을 받는 영예를 ..
작성일
2025-04-03
350
김원종 교수,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나노 치료 기술 개발
포스텍의 김원종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암세포 내 특정 단백질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획기적인 '표적 단백질 분해(TPD)' 기술을 나노입자에 적용하여 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항암제가 가진 내성 및 재발의 문제를 해결..
작성일
2025-03-31
349
이인수 교수, 분자 내비게이션 시스템 개발로 산업용 화학 반응의 정확도 향상
포스텍(POSTECH)의 이인수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새로운 '분자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분자들을 정밀하게 안내하여 선택적 화학 반응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 시스템은 유기 리간드가 분자들에게 방향을 제시하고, 실리카 쉘(shell)..
작성일
2025-03-21
348
장영태 교수, 초광안정 유기형광분자 개발로 신약 개발 및 질병 진단 전망 밝혀
포스텍 장영태 교수 연구팀은 획기적인 유기형광분자 '피닉스 플루어 555(PF555)'를 개발했습니다. 이 분자는 기존 형광물질의 한계를 극복하여 뛰어난 광안정성을 보여주며,단일 분자 수준에서의 단백질의 동작을 장시간 동안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는..
작성일
2025-02-27
열린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6
페이지
7
페이지
8
페이지
9
페이지
10
페이지
다음
맨끝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TOP